문체부 정책기자
[스크랩] 가정통신문도 스마트폰으로 받아보는 시대
조우옥
2015. 3. 26. 07:05
가정통신문도 스마트폰으로 받아보는 시대교육부, ‘학교알리미’ 모바일 앱 배포…회의록·수업계획 등 교육정보 한눈에[전국] 주부 진정애(47세) 씨는 자녀의 학교에서 진행했던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를 본 적이 없다. 특히 학교폭력 실태조사나 학부모 만족도 조사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갖고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를 접할 기회가 없었다. 첫째를 키울 때는 관련된 정보조차 찾을 수 없었고, 둘째를 키울 때는 맞벌이를 하느라 이런 세세한 것까지 신경 쓸 틈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맞벌이 주부들 사이에서 이런 불편함이 조금이나마 해소될 예정이다. 지난 18일부터 ‘학교알리미’ 스마트폰 모바일 앱이 정식 배포돼 언제 어디서든 학교 정보를 볼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제는 자녀가 다니는 학교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현황과 교과별 학업성취부터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동아리 활동 현황까지 총 22개 항목에 대한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이는 2008년 12월 1일부터 도입된 학교정보공시제도에 따른 결과로써, 기존에 운영되던 ‘학교알리미’ 홈페이지(www.schoolinfo.go.kr)’에서부터 출발한 것이다. 모바일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발맞추기 위해, 교육수요자가 스마트폰 앱으로도 교육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된 것. GPS 기반의 ‘내 주변학교 찾기’를 비롯해 교육정보별로 그래프나 도표 등의 시각화 자료가 제공되며, 자주 찾는 학교를 ‘관심학교’로 등록하거나 SNS에 공유하는 기능도 포함됐다.
필자가 가장 관심이 갔던 부분은 학교운영위원회의 회의 결과 등에 대한 파일을 내려받아 볼 수 있다는 것. 보통은 관련된 학부모회 임원이 아니면 관심을 갖기 어려운데, 스마트폰을 통해 누구든 회의록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으로 보였다. 가장 최근의 회의록을 내려받아보니, 얼마 전 큰 이슈였던 ‘9시 등교제’에 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생각, 그리고 운영위원회의 회의 내용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기별로 수업 계획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도 눈길을 끌었는데, 과목별로 정리돼 있어 보기에 용이했다.
정부 3.0 시대가 열리면서 공공정보가 개방되고, 국민을 중심으로 한 행정서비스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학교알리미 모바일 앱 또한 이것의 일환으로, 앞으로는 교육수요자들이 학교 행정에 대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다만, 필자가 직접 이용해볼 결과 개선돼야 할 점들도 눈에 띄었다. 우선 총 4대의 스마트폰으로 앱을 깔아 회의록에 대한 파일을 내려받아 봤는데, 두 대의 휴대전화에 오류가 떠 파일을 볼 수 없었다. 또 웹사이트에서나 얻을 수 있었던 최신 교육 소식 게시물을 볼 수 없다는 점도 아쉬웠다.
앱을 이용하면서 한 가지 추가됐으면 하는 기능이 있었는데, 다름아닌 학교별 가정통신문 공지이다. 얼마 전 스마트폰으로 자녀의 가정통신문을 확인할 수 있는 앱이 있다는 것을 알게됐다. ‘e 알리미’라는 스마트 가정통신문 애플리케이션인데, 이곳에서는 선생님과 학부모가 학교 행정에 대해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가정통신문 공지 기능이 학교알리미 앱에도 도입된다면, 훨씬 더 효율적인 학교 행정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 싶다. 정책기자 서혜빈(대학생) hyebin817@naver.com
|
출처 : 사랑을 전달하는 천사들의 집~!
글쓴이 : 호박조우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