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책임읍면동제’ 시행 앞둔 부천, 주민 반응 들어보니
‘책임읍면동제’ 시행 앞둔 부천, 주민 반응 들어보니동에서 시·군·구청 업무 효율적…주민자치 성공 위해 주민 재량권 늘려야“구청에 가려면 꼭 차를 타고 가야해서 불편했는데, ‘대동제’ 시행으로 관청이 주민들 곁에 바짝 다가올 것 같아요. 걸어다닐 수 있는 반경 안에서 구청 업무를 좀 더 신속하게 볼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어요. 현장행정이 주민들 중심으로 변화된다는 점이 매우 바람직해 보여요.” 부천시 소사구에 사는 임창선(55세, 송내2동) 씨는 최근 2개 이상의 읍면동을 묶어 큰 동, 이른바 대동을 만든다는 소식을 듣고 이 같이 환영의 뜻을 밝혔다.
행정자치부는 지방행정조직 개편을 위한 ‘책임읍면동’ 제도의 1차 시범운영 도시로 시흥시, 군포시, 원주시를 선정한 바 있다. 지난 5월 13일에는 책임읍면동 제1호 개청식이 경기도 시흥시 대야·신천 대동에서 열렸다. 책임읍면동이란 읍면동장이 권한과 책임을 갖고, 읍·면·행정동이 수행하던 기존 사무에 추가로 시청 또는 구청에서 수행하던 사무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책임읍면동 제도는 주민 편의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민자치에 대한 책임감도 함께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책임읍면동제가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필자는 성곡동 주민자치센터 참여예산 위원으로 지난 3년간 활동하면서 그 가능성을 미리 점쳐볼 수 있었다. 3년 전에는 부천시에서 ‘성곡동 마을가꾸기’ 예산을 지원받아 마을 주변에 둘레길을 조성하면서 장애인들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경사로를 신설하고, 학생들의 통학로를 육교와 연결해주는 사업을 펼쳐 주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받기도 했다. 주민 참여를 위한 홍보 캠페인에도 적극 앞장서 행복한 마을 만들기 공모에서 우수 동으로 선정되는 기쁨도 맛보았다.
성곡동 주민자치위원회에서도 주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중고생 30여 명을 모집해 베르네천 살리기 청소년 환경기획단을 운영하는 한편, 환경 수업과 쓰레기 줍기, 베르네천 정화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또 ‘내 고장 바로알기’ 역사 수업, ‘나의 체력을 찾자’라는 주제로 농구, 단체줄넘기, 미니체육대회 등 체력 단련 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중앙공원 차 없는 거리에서는 매월 청소년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방학기간에는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렇듯 생활자치가 튼튼히 뿌리내리고 있는 부천시인 만큼 앞으로 시행될 책임읍면동제에 대해서도 주민들은 환영의 뜻을 나타내는 한편, 바라는 점도 많아 보였다.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은 “지금까지 주민들이 행정 서비스를 받을 때 읍면동과 일반 구, 시 본청을 차례로 방문해야 했는데 이제는 대동에서 한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복지서비스의 경우 대읍·대동에서 복지 신청·조사·결정·지급이 모두 이뤄져 주민생활 편익이 크게 증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제도를 통해 주민이 지방자치의 주체로서 지역 문제를 직접 해결하고 평가하는 실질적인 생활자치의 여건이 조성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