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병무청 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2017공공빅데이터우수사례경진대회에서 병무청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병역면탈범죄 의심자 포착>을 주제로 장려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11월16일 서울정부청사 국제회의장 별관에서 개최되었는데요. 요즘 공공 부문의 빅데이터는 국민들의 핫이슈인데요. 저도 궁금해서 국민심사위원과 정책기자단으로 경진대회에 참석했습니다.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발표>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순서표>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점수 채점기>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공공기관에서 빅데이터를 분석·활용하여 신규 대국민서비스를 발굴하거나 행정을 효율화한 체감형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행사인데요. 1차 심사에서 선정된 스타 프로젝트 부문 8개 팀, 유징스타 프로젝트 부문 8개팀으로 총 16팀이 차례로 사례 발표를 했는데요. 병무청은 스타 프로젝트 부문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행사는 약 8분의 사례 발표를 한 후에 국민심사위원들이 점수를 매기는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발표 중 전문 국민심사의원들>
병역이행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데요. 공정하고 정의로운, 병역이 자랑스런 대한민국으로 사례 발표의 첫 머리를 열었습니다. 현재 나날이 지능화, 고도화, 다양화되는 병역면탈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병무청의 특별사법경찰제도가 2012년 4월부터 도입이 된 후 수사력 확대 20% 상승, 수사전문인력 확보로 38명이 증원되고 수사방법의 다양화로 디지털 포렌식이 도입이 되었다고 합니다.
병역면탈 수사방법으로는 인지수사 - 기획수사 - 사이버 수사 - 제보 수사 등이었으나 현재 수사력으로는 한계가 있어서 공공데이터 분석 모델을 도입했다고 합니다. 설명이 이어지는 동안 든든해지는 것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마찬가지 일 듯 합니다. 병역면탈 자 적발을 위한 능동적인 기획수사 활용으로 병역면탈의심자 추출시간이 단축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획수사건수를 확대하여 병역면탈자 적발확률을 높였다고 합니다.
발표가 이어지는 동안 국민심사위원들의 관심이 더 높아지는 듯한 느낌은 제가 청춘예찬 부모 기자로 활동하고 있어서 그럴까요? ㅎㅎ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발표 후 전문 심사위원들의 질의응답>
사례 발표를 마친 후에는 전문 심사위원들의 관심도 모아졌는데요. 그중에서도 교차분석 검증이라고 경험 기반의 시나리오 분석과 빅데이터 분석 결과 교차 검증을 통한 의심자를 포착할 수 있다고 하네요. 통계 검증 기반의 의심자와 검증 의심자 교차 검증을 통한 분석 모델 및 시나리오 등으로 분석 결과 데이터의 축적을 통한 적발률을 향상 시켰다고 합니다.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발표>
<2017공공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발표>
병역면탈 수법이 점점 지능화 되고 있다는 사례 설명에 가슴이 철렁하기는 했어도 일부에서 일어나는 일이니깐 걱정 안해도 될 듯 하다는 설명도 이어집니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병역이 자랑스런 대한민국에서 청춘들을 응원하는 부모 기자로 다시 한 번 병무청의 <2017공공빅데이터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취재: 청춘예찬 부모기자 김혜옥>